211.175.185.0/24 네트워크 대역을 네트워크 8개로 서브넷팅하는 실습을 진행해보자.

 

현재 211.175.185.0/24 대역의 네트워크 ID 는 24자리 이며, 호스트 ID 는 8자리이다. 해당 네트워크를 8개로 나누고자 한다면, 네트워크 ID 자릿수가 3 자리 더 필요하다. 총 27자리의 네트워크 ID 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.

 

0000 0000, 0010 0000, 0100 0000, 0110 0000, 1000 0000, 1010 0000, 1100 0000

 

1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0/27

2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32/27

3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64/27

4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96/27

5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128/27

6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160/27

7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192/27

8번 네트워크 - 211.175.185.224/27

 

PC 의 IP 는 해당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주소의 맨 처음, GATEWAY 의 IP 는 해당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호스트 주소의 맨 마지막으로 설정한다.

 

Router0 과 다이렉트로 연결되어있는 서브넷 1, 2, 3 을 제외한 서브넷 4, 5 에 대한 경로를 정적으로 설정한다.

 

마찬가지로, Router1 과 다이렉트로 연결되어있는 서브넷 3, 4, 5 를 제외한 서브넷 1, 2 에 대한 경로를 정적으로 설정한다.

 

PC0 에서 PC 1로 PING

 

PC0 에서 PC3 으로 PING
PC0 에서 PC2로 PING
PC1 에서 PC3 으로 PING
PC1 에서 PC2 로 PING
PC3 에서 PC로 PING

다른 네트워크 대역의 PC 끼리도 정상적으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 

tracert 명령을 통해 PC1 에서 PC2 로 가는 경로를 살펴보면, 라우터 2개를 거쳐가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.

 

 

 

 

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을 글로 작성하였습니다.

혹시나 잘못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 :)

COMMENT